본문 바로가기
건강

게임, 유튜브, 인스타그램과 ADHD의 관계

by lovelyrics 2025. 2. 8.

 

게임, 유튜브, 인스타그램과 ADHD의 관계

오늘날 많은 사람이 게임, 유튜브, 인스타그램을 사용한다. 하지만 ADHD를 가진 사람들에게 이 미디어들은 단순한 취미 그 이상일 수 있다. 왜일까? ADHD 특성과 디지털 미디어의 속성이 맞물리면서 특별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구분 긍정적인 영향 부정적인 영향
🎮 게임 - 집중력 향상 (FPS, 전략 게임) - 과몰입, 시간 조절 어려움
- 성취감 제공 - 충동적 소비 (인앱 구매)
- 친구들과의 소셜 활동  
📺 유튜브 - 시각적 학습 효과 - 무한 추천 알고리즘 중독
- 정보 습득 용이 - 시간 낭비 심화
- 짧은 집중 시간에도 학습 가능  
📱 인스타그램 - 빠른 정보 습득 - 도파민 의존
- 창의적 표현 기회 - 비교로 인한 자존감 저하

🎮 게임과 ADHD

1. 즉각적인 보상이 주는 몰입감

게임은 목표를 달성하면 보상을 준다.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레벨이 오를 때마다 성취감을 느낀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뇌의 보상 시스템이 일반인과 다르게 작동하는 경우가 많아, 즉각적인 보상을 주는 게임에 강한 몰입을 보인다.

2. 강한 시각적·청각적 자극

게임은 화려한 그래픽과 빠른 전개로 ADHD의 특징인 "쉽게 지루해지는 성향"을 극복하게 한다. 현실보다 더 흥미로운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집중력이 분산되는 문제를 순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3. 과몰입과 시간 관리 문제

하지만 게임이 너무 재미있어지면 시간 조절이 어려워진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한 가지에 빠지면 멈추기 힘든 경향이 있어, 게임을 몇 시간씩 하다가 중요한 일을 미루는 경우가 생긴다.

📺 유튜브와 ADHD

1.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 선호

ADHD를 가진 사람들은 긴 글이나 지루한 강의보다 짧고 재미있는 영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튜브 쇼츠(Shorts) 같은 짧은 영상은 한 번 보기 시작하면 계속 보게 만드는 특징이 있다.

2. 추천 알고리즘의 함정

유튜브는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만한 영상을 자동으로 추천한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충동적인 성향이 있어 "한 개만 더 보자" 하다가 몇 시간씩 영상을 보게 될 가능성이 크다.

3. 학습 도구로 활용 가능

반면, 유튜브는 ADHD를 가진 사람들이 새로운 정보를 쉽게 배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단순한 텍스트보다 영상이 더 효과적일 때가 많기 때문이다. 자기계발, 공부, 취미 등을 배울 때 유튜브를 적극 활용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인스타그램과 ADHD

1.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인한 도파민 상승

인스타그램에서는 '좋아요'와 댓글이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준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이런 즉각적인 보상을 강하게 원하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을 자주 확인하는 습관이 생기기 쉽다.

2. 짧고 강렬한 콘텐츠 선호

인스타그램의 릴스(Reels)와 스토리(Stories)는 짧고 빠르게 소비할 수 있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긴 글보다 짧은 영상과 이미지를 선호하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의 콘텐츠 구조는 ADHD 특성과 잘 맞는다.

3. 감정 조절 문제

하지만 인스타그램에서 남들의 화려한 모습을 보고 비교하게 되면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감정 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남들과 비교하면서 불안이나 우울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ADHD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사용 가이드

✅ 1. 시간 제한 설정하기

  • 게임이나 유튜브를 볼 때 "30분만 하기" 같은 구체적인 제한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 스마트폰 타이머를 설정해서 과몰입을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2. 보상 시스템 활용하기

  • "유튜브 1시간 보면 30분 운동하기" 같은 보상 시스템을 만들면 효과적이다.
  • ADHD를 가진 사람들은 보상이 있어야 더 쉽게 행동할 수 있다.

✅ 3. 알고리즘에 휘둘리지 않기

  • 무작정 추천 영상을 보기보다는, "내가 배우고 싶은 것과 관련된 영상 3개만 본다" 같은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다.

✅ 4. SNS 감정 조절 연습하기

  • 인스타그램에서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자신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는 SNS 사용을 줄이고, 오프라인 활동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결론

게임, 유튜브, 인스타그램은 ADHD를 가진 사람들에게 강한 자극과 즉각적인 보상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쉽게 몰입하지만, 과도한 사용은 집중력 저하와 감정 조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시간을 조절하고, 보상 시스템을 활용하며, 의도적으로 콘텐츠를 선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면 ADHD의 특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디지털 미디어를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다!